📚방법/경영 의사결정 방법

경영 계획하는 방법 5.0 (2023년 1월 버전)

hosunhwang 2023. 1. 9. 11:51

 

0. 내가 경영을 하는 방식 

 

경영 의사결정은 아래 순서로 이루어집니다. 

  1. 지표 측정 기록하기 
  2. 평가/계획서 작성
  3. 프로젝트 스케쥴링
  4. 테스크보드 작성
  5. 성장일기 작성

 

 

 


1. 지표 측정 기록하기 

1-1. 회계 지표 측정 방법

<회계장부 기록 프로그램>

저는 알찬회계를 사용해서 회계장부를 만들고 있습니다. 

저는 유료버전(연6만원)을 사용하고 있으나 무료버전을 사용해도 대부분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알찬회계에 전표입력을 제대로 하면 자동으로 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가 만들어집니다. 

저는 매일 밤마다 그날의 거래내역을 회계장부에 기록하면서 업무를 마무리하고 있습니다.

월말에 한번, 연말에 한번씩 하는 분개도 있습니다. 

 

<전표입력 방법>

전표입력(분개) 방법은 알찬회계 사이트 매뉴얼에 나와있고 질문을 남기시면 보통 하루만에 답을 달아주십니다.   

http://rcount.kr/menu/lesson_act.php

또는 알찬회계 매뉴얼에 없는 온라인 판매업자가 많이 사용하는 전표입력방법은 제 블로그 회계관리방법을 보시거나 저에게 여쭤봐주세요. 전산회계1급을 갖고있습니다. 저도 계속 회계를 배우고 있는 중입니다만, 간단한 질문에는 답을 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https://borntoexplore.tistory.com/category/%F0%9F%93%9A%EB%B0%A9%EB%B2%95/%ED%9A%8C%EA%B3%84%20%EA%B4%80%EB%A6%AC%20%EB%B0%A9%EB%B2%95

 

 

1-2. 판매데이터 측정방법

돈만 오고가는 거래만 측정하는 회계 지표로는 부족합니다. 

판매데이터까지 측정해야합니다. 

구글시트에 지표 작성 폼을 만들어놨습니다.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qVBvleaeW2gRat153z7EY7Ll-Cvc4bLNXI_atDYg3D4/edit?usp=sharing

 

 

 

디지털 자산

내가 무언가를 가지고 있을 때 현금흐름이 창출되면 그것은 자산, 무언가를 가지고 있음으로 인해 지출이 발생하게 되면 부채로 구분합니다.

온라인 스토어: 현실세계에서 상가를 가지고 있으면 이것은 자산입니다. 온라인 스토어도 이 와 같습니다. 물론 무료로 상가를 샀지만. 

자산 가치 측정 지표: 상품수(누적), 

 

상품: 상품이라는 매대도 자산입니다.자산 가치 측정지표: 순위 , 후기

 

sns채널:유튜브: 구독자수, 영상수

 

ㅡㄹ로그: 지수 레벨, 글 수 

 

 

 

 


2. 평가/계획서 작성하기 

사업의 현황을 파악하는 방법

어떤 사업이든 본질적인 구조는 같습니다.

자본 또는 부채를 자산으로 바꿉니다.
자산을 이익으로 바꿉니다.
이익은 다시 자본이 됩니다.

어떤 비즈니스를 하든 회사의 기본적인 활동은 모두 똑같습니다.

  1. 돈을 모아 (자금 조달 작업)
  2. 그 돈을 자산으로 바꿔서 (투자 작업)
  3. 이익을 내는 (이익 전환 작업)

세가지 활동을 반복합니다.

이에 맞춰서 사업의 현황을 알 수 있는 질문들을 작성하였습니다. 

 

 

 


(평가/계획서 양식)


 

제목: 20XX.XX/XX 평가/계획서


n월 평가

손익계산서

(표 기입)

 

대차대조표

(표 기입)

 

현금흐름표 

(표 기입)

 


1. 어떻게 돈을 모으고 있는가?

개인 기업에서 현금 출자 방법은 자본금 또는 대출 또는 잉여이익금 세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현금흐름을 보여주는 지표>

  (전)월 (당)월
영업활동현금흐름    
재무활동현금흐름    
재무상태표의 대변    
매출채권회전기간    
자금시재 현황표    
현금통장 잔액표    

 

<이익을 보여주는 지표>

  (전)월 (당)월
매출    
매출원가    
매출총이익    
판매비와관리비    
영업이익    

 

 

 


2. 얼마나 성장하였는가?

 

<성장성을 보여주는 지표>

이익

  (전)월 (당)월
매출 증감율    
영업이익 증감율    
방문자수 증감율    
판매개수 증감율    

 

 

 

 

 


3.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을 내고 있는가?

자산을 판매를 하여 수익으로 바꿀때 .매출액은 최대한 올리고 비용 최대한 줄이면 효율적으로 이익으로 전환이 됩니다. 

 

<자산이 효율적으로 이익으로 전환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

  (전)월 (당)월
구매전환율    
매출총이익률    
영업이익률    
매출액대비판관비    
모든 광고수익률(ROAS) 중앙값    

 

 

 


4. 무엇에 투자했는가?

현금을 어떤 자산으로 바꾸었는지 확인합니다. 
온라인 유통 사업이 가지고 있는 자산은 거의 무형자산, 재고와 고정자산입니다.
무형자산은 상품등록,
재고는 팔기위해 구비해놓은 상품,
고정자산은 컴퓨터, 책상, 의자, 송장프린터와같은 비품입니다.

 

<재고 투자 상황 보여주는 지표>

  (전)월 (당)월
투자활동현금흐름    
재고자산회전율    
총자본회전율(투자한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해 매출을 올리고 있는지 보여줌.)    
재무상태표의 차변(돈을 무엇에 투자하고 있는지 보여줌)    

 

<상품 전시 지표>

  (전)월 (당)월
전시중인 상품 수    
이번 달에 등록한 상품 수     

 

<무형자산 지표>

{콘텐츠 플랫폼명} 
(전)월
(당)월
블로그 지수
 
 
월간 조회수
 
 
일 평균 조회수
 
 
월간 포스팅 수
 
 
누적 포스트 수
 
 
이웃수
 
 
view탭 노출 중인 포스트 수
 
 

<!--td {border: 1px solid #cccccc;}br {mso-data-placement:same-cell;}-->

자산 분류 플랫폼 자산 명칭 자산가치 측정지표
온라인 스토어 네이버 온 고 지 신 상품 수
상품 네이버 상품명 후기 개수
상품 네이버 상품명 순위
상품 이베이 상품명 후기 개수
SNS채널 유튜브 채널명 구독자 수
SNS채널 유튜브 채널명 영상 수
SNS채널 블로그 채널명 블로그 지수
SNS채널 블로그 채널명 포스팅 수

 

 


5. 얼마나 잘 일했는가?

핵심 생산물 수

  (전)월 (당)월
제작한 콘텐츠 수 합    
발행한 블로그 포스트 수    
발행한 인스타그램 게시물 수    
업로드한 유튜브 영상 수    
등록한 상품 수    
새로 만든 광고 캠페인 수    

 

전체 작업수 

  (전)월 (당)월
완료된 프로젝트 수    
의사결정 작업수    
유지보수관리 작업수    
자본/부채 조달 관리 작업수    
자산 투자 관리 작업수    
방문자수 높이는 작업수    
구매전환율 높이는 작업수    
객단가 높이는 작업수    
매출원가 줄이는 작업수    
판매비와관리비 줄이는 작업수    
세금 줄이는 작업수    

 

대표 업무평가 지표 

  (전)월 (당)월
월간 목표 과제수    
월간 수행 과제수    
평균 과제 수행률    

 

매니저 업무평가 지표 

  (전)월 (당)월
월간 목표 과제수    
월간 수행 과제수    
평균 과제 수행률    
직원의 매출기여액    

 

전월에 목표로 한 프로젝트 수: 

전월에 완료한 프로젝트 수:

 

핵심 생산물 수

발행한 모든 콘텐츠 수 (전)월 (당)월
발행한 블로그 글 수    
발행한 인스타그램 게시물 수    
업로드한 유튜브 영상 수    
등록한 상품 수    
새로 만든 광고 캠페인 수    

 

 

 


n+1월 계획

내가 경영을 하는 방식 (secretcrew.kr)

(회계 공식 추가할 것)

(린 분석 보고 다시 할 것) 

 

1. 개선이 필요한 지표를 찾는다

파트를 다음 5가지로 나누고 전기대비 떨어지거나 증감이 되면 매출이 증가 될 것으로 보이는 지표를 찾습니다. 

방문자수

구매전환율

객단가

매출원가

판관비

 

 

예시.

x=A+B+C+D...

A=a1+a2+a3

 

사례.

'판매개수' 지표가 개선이 필요하다.

판매개수=방문자수*구매전환율
방문자수=광고 유입 방문자수+콘텐츠 유입 방문자수+기타 방문자수+재구매 방문자수
콘텐츠 조회수=블로그 조회수+인스타그램 조회수+유튜브 채널 조회수+기타 SNS 조회수
유튜브 채널 조회수=첫번째 영상 조회수+두번째 영상 조회수+....

 

 

2. 목표 값을 정한다 

목표값을 정할 때 유의해야할 것은 성과 지표가 아니라 행동 지표여야 합니다.

행동지표는 우리의 힘으로 온전히 컨트롤 할 수 있는 지표를 말합니다. 

행동지표란 생산물의 개수입니다. 

어떤 것을 생산해야 성과지표가 올라가는지 파악합니다. 

 

예시.'

유튜브 조회수'는 성과지표입니다.

'영상 업로드'는 행동 지표입니다. 

 

 

 

 

3. 개선 방법을 찾는다

해당 지표를 개선시키려면 어떤 프로젝트를 해야하는지 찾습니다. 

 

사례.

'업로드한 유튜브 영상 수' 지표를 늘리는 것이 목표입니다. 

신사임당의 유튜브 영상 제작 프로세스에 맞춰 영상을 만들어보겠습니다.

https://borntoexplore.tistory.com/1834

 

 


4. 우선순위를 정한다

지표를 개선했을때 기대되는 이익이 크고, 개선이 시급한 큰 순서대로 정렬합니다.

이때의 지표는 성과 지표입니다. 

 

예시.

지표x가 제일 급하고 y, z는 그렇게 급하지 않다. 

 

사례.

판매개수=방문자수*구매전환율

구매전환율도 떨어졌지만 방문자수 늘리는게 더 중요해서 이번달에는 방문자수에 집중하려고 합니다. 

 

 

 

 

 

 


3. 프로젝트 스케쥴링 

해당 프로젝트의 구체적인 작업을 보며 소요기간을 대략적으로 파악하고 마감일을 정합니다. 

계획서에 목표로 쓴 프로젝트를 구글 캘린더에 기록합니다. 

 

 

 

 

 


4. 테스크보드 관리 

기존에는 먼데이로 테스크를 관리하였습니다.

구글 시트로 먼데이의 단점을 보완하고 저에게 맞도록 커스터마이징하여 테스크보드를 만들었습니다. 

▷(구글 시트 테스크보드 링크)

 

(관리 방식 설명) 

 

 

 

 

 

 

 

 


5. 성장일기 

프로젝트 단위로 성장일기를 적습니다. 

작성한 성장일기는 다음달 평가서 작성때 링크를 첨부하고 점검합니다. 

▷(티스토리 성장일기 링크)